
봄 속의 겨울
1994년 5월 5일, 산행-92회 때 선작지왓에서 촬영한 사진이다. 한라산 사진을 찍으면서 가장 늦은 계절에 담은 상고대 사진이다.

봄 속의 겨울1994년 5월 5일, 산행-92회 때 선작지왓에서 촬영한 사진이다. 한라산 사진을 찍으면서 가장 늦은 계절에 담은 상고대 사진이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선작지왓의 봄
1993년 6월 15일의 선작지왓. 2019년 현재로 부터 26년 전인 이때만 해도 선작지왓에 조릿대가 거의 없었다. 진달래나 철쭉을 촬영할 때 허옇게 마른 잎의 조릿대를 신경 쓰지 않았었다.

선작지왓의 봄1993년 6월 15일의 선작지왓. 2019년 현재로 부터 26년 전인 이때만 해도 선작지왓에 조릿대가 거의 없었다. 진달래나 철쭉을 촬영할 때 허옇게 마른 잎의 조릿대를 신경 쓰지 않았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윗세오름대피소
1984년 처음 한라산에 오를 때 만났던 해발 1700미터의 대피소다. 그후 이 콘크리트 건물을 철거하고 둥근 통나무로 다시 지었는데 나무가 많이 썩어 붕괴위험이 있다면서 2019년 11월 현재 출입금지 상태다. 언젠가 다시 짓겠지.

윗세오름대피소1984년 처음 한라산에 오를 때 만났던 해발 1700미터의 대피소다. 그후 이 콘크리트 건물을 철거하고 둥근 통나무로 다시 지었는데 나무가 많이 썩어 붕괴위험이 있다면서 2019년 11월 현재 출입금지 상태다. 언젠가 다시 짓겠지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서북벽의 봄
2002년 5월 17일 서북벽. 비가 내린 직 후 정상에 오르다가 담았다.

서북벽의 봄2002년 5월 17일 서북벽. 비가 내린 직 후 정상에 오르다가 담았다.



남벽에서-
1994년 5월 22일 서북벽으로 정상에 오른 후 남벽코스로 하산 중 담았다.

남벽에서-1994년 5월 22일 서북벽으로 정상에 오른 후 남벽코스로 하산 중 담았다.

백록담 동릉
동릉 안쪽에 진달래가 피었다. 정상엔 철쭉은 없고 진달래만 있다.

백록담 동릉동릉 안쪽에 진달래가 피었다. 정상엔 철쭉은 없고 진달래만 있다.








서북 정상에서-
비가 내리는 밤 서북벽을 타고 정상에 올랐다. 짙은 운무로 아무 것도 담지 못하고 비옷을 입은채 앉아서 졸고 있는데 갑작이 이 풍경이 나타났다. 네가티브에 담은 사진인데 포지티브로 복사했다가 스캔했다.

서북 정상에서-비가 내리는 밤 서북벽을 타고 정상에 올랐다. 짙은 운무로 아무 것도 담지 못하고 비옷을 입은채 앉아서 졸고 있는데 갑작이 이 풍경이 나타났다. 네가티브에 담은 사진인데 포지티브로 복사했다가 스캔했다.








백록담의 봄
산행-33회째인 1993년 6월 16일에 촬영. 음력 4월 16일의 큼직한 달이 떠서 헤드랜턴 없이도 산행을 할 수 있었다. PENTAX67에 smcPENTAX 45mm 렌즈를 장착해서 후지 RVP에 노출했다.

백록담의 봄산행-33회째인 1993년 6월 16일에 촬영. 음력 4월 16일의 큼직한 달이 떠서 헤드랜턴 없이도 산행을 할 수 있었다. PENTAX67에 smcPENTAX 45mm 렌즈를 장착해서 후지 RVP에 노출했다.











남벽에서-
남벽 정상에서 담은 풍경. 철쭉이 만개했는데 얕은 계곡을 따라 군락을 이룬 구상나무가 이채롭다.

남벽에서-남벽 정상에서 담은 풍경. 철쭉이 만개했는데 얕은 계곡을 따라 군락을 이룬 구상나무가 이채롭다.












